메뉴 건너뛰기

해원이세상

담아온 글들

조회 수 7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http://www.ibestbaby.co.kr/webzine/read?q_id_board=wz_3&q_sq_board=1703&srh%5Bpage%5D=1&srh%5Bscal%5D=10&srh%5Bwhat%5D=&srh%5Btext%5D=&srh%5Bdate%5D=&srh%5Bsort%5D=&srh%5Bwebzine%5D=category

단맛, 그 정체를 알아야 이길 수 있다!
 
단맛이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 아이를 위협하는 나쁜 단맛, 어느 정도 눈감아줄 만한 단맛, 좋은 단맛 등 종류가 다양하거니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제각각이다. 단맛을 슬기롭게 섭취하기 위해선 단맛의 정체부터 알아야 한다.
한 번쯤 사탕, 껌, 케이크, 아이스크림 등 시판 간식의 라벨에 있는 성분표시를 꼼꼼하게 읽어보자. 아스파탐, 사카린, 시클라메이트, 솔비톨, 이소말트 등 전혀 본 적 없는 낯선 명칭이 적혀 있을 것이다. 모두 화학적으로 만든 설탕 대용 감미료. 또한 몸에 좋은 천연 당으로 꼽히는 올리고당이나 꿀을 넣었다고 표시된 제품도 있을 것이다. 달콤한 식품 속에 숨어 있는 당분의 진짜 정체는 무엇일까?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단맛의 리스트를 모았다.
 
무설탕 식품, 안심해도 될까?
무설탕이라는 광고하는 제품의 성분표시를 읽어보면 설탕 대신 단맛을 내는 당류, 즉 과당, 포도당, 올리고당을 넣은 것이 대부분이다. 혹은 그보다 더 위험한 합성당을 넣은 경우도 많다. 단지 제조과정 중 설탕을 첨가하지 않았을 뿐 결국 혈당이 증가하고 칼로리가 높은 달콤한 대체 감미료가 들어간 것. 따라서 무설탕이라고 무조건 안심할 게 아니라 첨가된 당 성분이 무엇인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꼼꼼히 살펴보는 현명함이 필요하다. 더 좋은 방법은 천연 재료로 단맛 내는 법을 알아두고 활용하는 것.
 
 
 
피해야 할 ‘나쁜 단맛’
사카린 설탕에 비해 최대 500배 정도 단맛을 내는 합성 감미료로 아이에게 먹여서는 안 되는 대표 단맛이다. 동물 실험에서 방광암을 유발했다는 발표 이후 지금까지 발암성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명백히 판명되지는 않았다. 다른 인공감미료에 비해 가격이 1/6 정도라 업체에서 꾸준히 이용하고 있다. 뻥튀기, 사탕은 물론 간혹 의약용 치약에도 사용되고 있으므로 성분표시를 잘 살펴 사카린이 들어 있는지 확인할 것.
 
아스파탐 가장 흔하게 쓰이는 인공감미료로 각종 탄산음료, 과즙음료, 아이스티, 감기 시럽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다이어트 콜라의 단맛을 내는 것도 바로 아스파탐. 설탕보다 200배나 달아 조금만 넣어도 단맛을 느낄 수 있어 당뇨병 환자식에도 이용한다.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어 차라리 설탕이 낫다는 전문가도 있다.
 
스테비오사이드 설탕보다 300배 달콤한 천연 감미료. 스테비아라는 식물에서 추출했으며, 체내에 흡수되지 않아 칼로리가 제로. 덕분에 다이어트 감미료로 사용되지만 유전자 변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유해성 논란이 있다. 소주의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도 사용된다. 강냉이, 어묵, 소시지, 조미 건어물, 간장, 청량음료에도 들어간다. 아직 안전성 논란이 있는 만큼 아이들은 섭취를 삼가는 것이 좋다.
 
섭취량을 조절해야 할 단맛
설탕 사탕무나 사탕수수를 가열, 농축, 정제, 결정화하여 만든 감미료로 가열 정도에 따라 백설탕, 황설탕, 흑설탕으로 나뉜다. 예전에는 흑설탕에서 황설탕을, 황설탕에서 백설탕을 추출했지만, 요즘엔 가장 선호도가 높은 백설탕을 먼저 추출하고 점차 온도를 높여 가열하여 색을 더한 설탕을 완성한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 황설탕이나 흑설탕을 먹는 것은 잘못된 생각. 또 유기농 설탕은 농약이나 첨가물을 줄이고 유기농으로 재배한 사탕수수로 만든 것인데, 재배 과정은 달라도 설탕을 제조하는 과정은 같다. 설탕은 다이어트와 건강의 적으로 꼽히는 대표적 식품. 하지만 정작 설탕 1g당 4Cal의 열량을 내는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자체 칼로리는 그다지 높지 않다. 먹을수록 단 음식을 더 당기게 하는 중독증과 자주 섭취할수록 저혈당증을 유발시키는 것이 가장 큰 문제.
 
과당 과일 속에 주로 함유된 당으로 인공적인 과정을 통해 채취한다. 감미도가 높고 맛이 깔끔해 고급 당으로 여기지만 결국은 정제당이므로 몸에 좋다고는 할 수 없다. 정제당은 미네랄, 비타민 등 영양소는 없애고 당분만 쏙 빼내어 만든 것. 갑작스레 정제당을 많이 먹을 경우 혈당치를 조절하는 인체 내 면역 시스템이 교란된다. 또한 그 사이 몸에는 쓸데없는 지방이 쌓이게 되고, 이로 인해 각종 성인병이 싹트게 되는 것이다. 과당은 액상과당과 결정과당으로 나뉘는데 액상과당은 주로 가공식품에, 결정과당은 설탕 대용으로 판매된다. 흔히 무설탕, 무가당이라는 광고하는 과즙음료, 00맛 우유, 드링크제에 광범위하게 들어 있다.
 
물엿 곡식에 엿기름을 섞어 당화시킨 뒤 졸인 것으로 조청의 전 단계. 잘 굳고 끈끈한 조청의 단점을 보완했으며 색이 맑고 투명하다. 요리 본래의 맛과 색을 해치지 않는 것이 장점이라 반찬을 만들 때 많이 쓴다. 하지만 표백 정제과정을 거치며 유전자 조작 옥수수, 콩 등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자일리톨 자작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감미료로 맛이나 당도는 설탕과 비슷하고 칼로리는 1/2 정도. 처음엔 설탕을 섭취할 수 없는 당뇨병 환자의 회복을 위해 이용했다. 이후 충치균을 약화시키는 자일리톨의 치의학적 효능이 검증되면서 대량생산된 것. 한꺼번에 많은 양을 섭취하면 설사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먹어도 괜찮은 건강한 단맛
조청 묽게 고아 굳지 않는 엿. 설탕보다 흡수 속도가 느려 혈당이 급히 올라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과, 약과를 만들 때 단맛을 내거나 떡에 곁들이는 용도로 쓰인다. 찹쌀과 엿기름을 오랜 시간 고아 만든 전통 감미료로 표백·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아 각종 영양성분이 살아 있고 주재료가 비교적 안전한 쌀이라는 것이 장점. 음식의 색과 맛이 묵직해지는 단점이 있지만 뭉근하게 조리거나 볶는 요리에 넣으면 풍미가 좋아진다. 건강한 단맛에 속하긴 하지만 자칫 단맛에 길들면 입맛이 없어져 건강한 식생활을 해칠 수 있으므로 양을 조절한다.
 
올리고당 설탕처럼 달콤한 맛을 내면서도 칼로리는 설탕의 1/4 정도라 비만 예방에 좋다. 설탕이 혈관으로 바로 흡수되어 인체를 급속도로 고혈당 상태로 만드는 반면, 올리고당은 체내 흡수가 느려 인슐린 분비를 안정시킨다. 또한 표백과정이 걱정되는 물엿과 달리 장내 유해물질 생성을 억제시켜 정장작용을 하며 충치 예방 효과도 있다. 단, 설탕의 50% 정도의 단맛을 내기 때문에 오히려 과량 섭취할 우려가 있다. 열량 또한 일반 당질과 거의 비슷(1g당 3~4Cal)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포도당 40%, 과당 40%, 수분 20% 정도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양봉 꿀과 토종 꿀 두 종류가 있는데, 벌이 채집한 꽃의 향이 남아 조리용으로는 그리 적합하지 않다. 가격도 비싼 편이라 주로 가정에서 먹는 편. 요리에 넣을 때는 비교적 향이 약한 잡화 꿀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꿀에 있는 각종 미네랄과 영양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생으로 만드는 음식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 조리 시에는 마무리 단계에 넣도록 한다. 천연 감미료이자 당분 이외에 영양소를 함유하여 활용도가 좋은 단맛에 속한다. 단, 돌 이전 아이는 보툴리누스균 감염이 우려되므로 먹이지 않는다.
 
 
아이를 유혹하는 생활 속의 단맛
초코 우유 1개 아이 열이면 열 명 모두 흰 우유보다 초코 우유를 택한다. 초코 우유는 칼로리도 높은데다 당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초코 우유 1개(200㎖) 당분 20g 함유

젤리 한 통 마트의 계산대 옆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캔디, 초콜릿 등이 놓여 있다. 아이의 성화에 결국 젤리 한 통을 사주면 순식간에 먹어치운다. 젤리는 설탕 덩어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많은 양의 당분이 들어 있다. *꿈틀이 1봉지(46.5g) 당분 30g 함유 *마이쭈 딸기맛 1통(15개입) 당분 26g 함유

짜 먹는 요구르트 차로 이동할 때 얌전히 있으라고 입막음용 간식을 들려주는 경우가 많다. 짜 먹는 요구르트는 휴대가 간편해 차량용 인기 간식. *짜 먹는 요구르트 1개(150㎖) 당분 20g 함유

바나나맛 우유 식사를 마치면 냉장고 음료수 칸에 있는 음료수를 하나씩 챙겨 먹는다. 역시나 달콤한 바나나 우유에 손이 간다. 보통 과일 맛 우유에는 100㎖에 약 10g의 당이 들어 있다. 이는 스포츠 음료(100㎖ 6g)보다 많고, 사이다(100㎖ 10.3g)에 맞먹는 수치. *비나나맛 우유 1병(235㎖) 당분 24g 함유

알록달록 시판 간식 마트에 간 아이는 과자 코너에 들러 직접 고르겠다고 나선다. 유기농 코너의 과자는 괜찮을까 싶지만 결국 아이 손에는 초콜릿이 듬뿍 든 과자가 들려 있다. *칸쵸(1봉지) 당분 17g 함유 *다크화이트 초콜렛 1개(48g) 당분 24g 함유 *가나 초콜렛 1개(47g) 당분 22g 함유

아이스크림 집에선 그나마 가려 먹이려고 노력하지만 밖에선 어쩔 수 없다. 주변에서 아이 예쁘다며 과자며 아이스크림을 사주기도 하는데 유난떤다 할까 봐 ‘우리 아이는 단 거 안 먹여요’라는 말이 잘 안 나온다. *아이스크림 1개(200g) 당분 35g 함유
 
 
진행 박시전·한보미 기자 │ 사진 이성우



* 출처 : 베스트베이비 ( http://www.ibestbaby.co.kr/webzine/read?q_id_board=wz_3&q_sq_board=1703&srh%5Bpage%5D=1&srh%5Bscal%5D=10&srh%5Bwhat%5D=&srh%5Btext%5D=&srh%5Bdate%5D=&srh%5Bsort%5D=&srh%5Bwebzine%5D=category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공지 그가말했다 천재가 부럽습니까? 재능이 부족합니까? 9343
공지 한몸기도...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 9401
60 지식과강좌 [생활노하우]색이 바랜 흰옷 관리하는 방법 599
59 지식과강좌 임신 전 꼭 챙겨야 할 의료 검사 620
58 지식과강좌 습기찬 화장실 청소 1105
57 지식과강좌 국민카드 굴비엮기 총정리 1378
56 지식과강좌 촌수·호칭 바로알기 1256
55 지식과강좌 30년간의 기독교 절기 날짜 알아보기 622
54 지식과강좌 사업자등록절차 570
53 지식과강좌 인터넷 플래시 광고 차단 방법 701
52 지식과강좌 windows font viewer 로 font보기!! 711
51 지식과강좌 누구나 좋아하는 격려의 말들 539
50 지식과강좌 저만큼 궁금해 하는 사람이 있을까봐 올립니다. 퀵타임.. 655
49 지식과강좌 노트북에 윈도우 XP 설치하기 (다운그레이드) 744
48 지식과강좌 포토샵에서 한글이 안 써질 때 대처법 1288
47 지식과강좌 여름을 식혀준 에어컨 보관방법! 433
46 지식과강좌 SLI 다중 GPU 렌더링이 비활성화 되었습니다 문제해결 file 2325
45 지식과강좌 인간의 다양한 심리 520
44 지식과강좌 패스툴로 선따기 660
43 지식과강좌 잠자기 전 남은 칼로리 없애려면 425
42 지식과강좌 경추만 풀어도 건강이 잡힌다. 472
41 지식과강좌 걷기운동에 대한 10가지 오해 4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