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원이세상

담아온 글들

조회 수 473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http://economy.hankooki.com/lpage/hotissue/200901/e2009011114544696990.htm
■ 맞춤형 재테크
月 10만원 청약저축 가입 서둘러야
종신·변액유니버셜등 중복되는 장기보험 비중 줄일 필요
목돈 4,000만원은 CMA등 안전상품 위주로 운용 바람직

류정이 기업은행 PB고객부 과장
클릭하시면 확대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확대 이미지를 보실수 있습니다

Q : 남자 직장인으로 올해 30세입니다. 월급은 200만원 정도이며 매월 지출내역은 ▦장기주택마련저축 30만원 ▦적립식 펀드 40만원 ▦변액유니버셜보험 30만원 ▦종신보험 18만원 ▦운전자 보험 5만원 ▦생명보험 20만원 ▦생활비ㆍ기타 57만원 등입니다. 현재 ▦주가지수연계증권(ELS) 1,000만원 ▦정기예금 1,500만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600만원 ▦월급통장 700만원 등의 금융자산을 갖고 있고, 따로 현금으로 300만원을 보유중입니다. 앞으로 내 집 마련과 결혼자금 마련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A : 현재 재무 상황을 보니 소득대비 저축률 및 재무상태는 매우 양호해 보입니다. 미혼의 직장인임에도 불구하고 검소하며 알뜰한 성향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변액유니버셜보험, 종신보험, 생명보험 등 장기보험 상품의 비중이 높아 ‘결혼’ 및 ‘주택마련’이라는 목표를 위해 저축할 금액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 적립하고 있는 상품이 재무목표에 맞는지 따져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분석 후 쓰임새가 애매하거나 중복되는 것은 과감히 정리하고 당면한 재무목표에 적합한 상품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야 효과적으로 목표로 삼는 자금을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장기보험상품의 리모델링이 시급합니다. 변액유니버셜 보험은 일정기간 적립 후 돈을 빼는 것이 자유롭고 주식 등 위험자산에 일부 투자하기 때문에 투자상품으로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망보험금이 일반 연금보험보다 많다는 점에서는 종신보험과 중복되며 일정 기간 적립 후 연금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연금보험의 기능도 있습니다. 보험상품이 중복돼 있는 셈입니다.

또 종신연금도 현 급여수준이나 아직 미혼인 점 등을 감안하면 꼭 가입해야 하는 상품은 아닙니다. 결혼 후에라도 종신보험보다는 정기보험에 가입하고 남는 금액으로 질병, 상해 보험에 추가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단 보험은 일반 예금과 달라 해지 시 고려해야 할 조건들이 많기 때문에 실제 리모델링은 전문가와 좀 더 상담한 후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음으로 결혼 후 조금이라도 일찍 주택을 마련하려 한다면 청약저축 가입이 필수적입니다. 현재의 소득수준 등을 감안했을 때 청약부금이나 예금에 돈을 넣는 것보다는 청약저축을 통해 공공주택을 분양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40살 정도에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생각으로 지금부터 청약저축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청약저축은 세대주면 가입이 가능하며 일찍 가입할 수록 환산점수가 높아져 주택을 마련할 때 유리합니다. 청약저축은 만기일이 없고, 납입금액이 2만원에서 10만원 사이로 자유롭지만 납입이 지연될 경우 회차에 비례한 지연 일수만큼 청약순위가 지연됩니다.

그만큼 입금은 매월 지정된 날짜를 지키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합니다. 가입 후 2년이 경과하고 24회차 이상 납입하면 1순위 자격을 얻게 되지만 납입 인정금액에 따라 같은 순위 내에서도 청약기회는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유가 된다면 가급적 큰 금액(10만원)으로 납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한편 기존 적립식 펀드는 가능하면 소득공제 및 배당소득 비과세가 가능한 장기주식형펀드(국내)로 모두 전환하거나 신규로 가입할 것을 권유합니다.

마지막으로 결혼을 2~3년 내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 현재 마련된 목돈(4,100만원) 중 CMA 등 입출식 계좌에 있는 대기성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해야 합니다. 올해 투자시장은 여전히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펀드, 주식 등 위험자산이 아닌 안정적인 금융상품위주로 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결혼자금 등 목적이 분명한 자금의 경우 안전자산에 투자해야 필요할 때 돈을 쓸 수 있습니다. 수익률만 따졌다가는 막상 결혼할 때 가용자금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매월 20만원씩 적립식 펀드로 추가로 투자하면 약 5,000만원 정도의 목돈은 무난히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기가 나빠지고 있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때일수록 목표를 확실히 하고 원칙에 충실한다면 반드시 좋은 결실이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재무목표도 성공적으로 달성하길 기원합니다.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