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원이세상

담아온 글들

조회 수 41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http://bbs.moneta.co.kr/nbbs/bbs.normal.qry.screen?p_bbs_id=N10604&p_message_id=6826205&top=1&sub=2&depth=7&p_tp_board=false&service=mini_handbook&wlog_mkt=PRM1_1

합리적인 결혼비용 분담을 위한 가이드/ 결혼준비 상세목록

 

Part1 결혼비용 분담, 그 실제

 

- 공동 부담 항목

 

예식비용_예식장 대여를 포함해 결혼식 경비는 공동 부담한다. 예식홀 대여비부터 웨딩 케이

크,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축하연주비, 기타 대여비 등이 모두 포함된다. 단 피로연 비용은 양가

의 하객 수만큼 각자 부담한다.

 

하객수송 차량비 및 교통비_신랑 신부가 고향이 다를 경우 하객들이 지방이나 서울로 이동할

때 차량대절 비용이나 교통비는 양가에서 각자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혼여행_신혼여행에 들어가는 패키지 비용은 각각 부담하고, 신혼여행지에서 쓰는 비용은 폐

백드릴 때 집안 어른들이 주는 돈으로 충당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행지에서 구입하는 선물비

용이나 가이드 팁 등은 각자 상황에 맞춰 부담하도록 한다.

 

 

- 신부측 부담 항목

 

혼수

신랑이 신혼집을 마련하면 집을 꾸밀 가구와 가전제품, 주방용품, 기타 소소한 생활용품 일체를

신부가 준비한다. 신혼집을 공동으로 마련할 경우에는 혼수비용도 신랑과 함께 부담하기도 한

다.

 

신랑 예물 및 의상

신랑 예물은 결혼반지와 시계, 양복 정도가 일반적이며, 신부 쪽에서 부담한다.

 

약혼식 비용

요즘에는 약혼식은 생략하고 상견례 후 바로 예식을 올리는 추세지만, 약혼식을 하는 경우라면

모든 비용을 신부측에서 부담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단

가풍이나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천양지차다. 최근의 추세는 일정 금액을 보내고 현물 예물은 시

부모용 정도만 보내는 것이 일반적. 예단은 결혼준비를 하면서 가장 트러블이 많이 생기는 부분

으로 금액과 품목에 대해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좋다. 신부 쪽에서 예단금을 보내면 신랑 쪽에

서 일반적으로 금액의 반 정도를 되돌려 보낸다.

 

폐백 음식

폐백 음식에는 예식 당일 쓰이는 것과 신혼여행을 다녀온 후 시댁에 첫인사를 드릴 때 가져가는

것 두 가지가 있다.

 

헤어&메이크업

예식 당일의 신부 헤어와 메이크업은 신부측에서 부담한다. 신랑 헤어와 메이크업 비용도 액수

가 많지 않으므로 함께 부담하며, 예식 당일 시어머니와 친정어머니의 헤어&메이크업 비용 역

시 신부 쪽에서 부담한다.

 

부케

부케는 신부의 친구들 쪽에서 맡는다. 양가 부모님과 주례, 사회자가 사용할 부토니어도 신부측

에서 부담한다.

 

도우미 수고비

리허설 촬영시 메이크업과 헤어, 의상 등 신부를 도와주는 진행자나 신부 미용을 담당하는 도우

미, 드레스 헬퍼에게 주는 팁은 대부분 신부가 부담한다.

 

 

 

- 신랑측 부담 항목

 

신혼집 마련

신혼살림을 시작할 집은 신랑이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 하지만 신부측에서 부담하거나 두 사람

이 함께 마련하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신혼집 마련 비용이 많은 경우 혼수를

줄이고 신부측에서 신혼집 마련에 그 비용을 더하기도 하므로 양측에서 미리 상의해서 결정하

도록 한다. 부수적으로 드는 부동산 수수료와 도배비 및 수리비는 남자 쪽에서 부담한다.

 

신부 예물

결혼반지와 시계, 보석류 등 신부 예물은 신랑측 부모가 준비한다. 요즘 신세대들은 값비싼 패

물보다 평소에 착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예물을 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예비 신부와 상의해

결정한다.

 

신부 예복

웨딩드레스와 한복을 포함해 신부가 입는 의상 일체는 신랑측에서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컨설팅이나 협력업체, 예식장 토털상품으로 준비한다면 반반씩 부담할 수 있다.

 

사회 및 주례 사례비

결혼식 사회자나 주례에 대한 사례는 부탁한 쪽에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회나 주례는 대부

분 신랑의 지인이 많이 하므로 신랑측에서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 현금보다는 상품권이나 허니

문에서 구입한 선물로 대신하는 경우가 대부분.

 

예식 뒤풀이 비용

유동적이기는 하지만 친구들과의 뒤풀이 비용은 신랑측에서 부담한다. 뒤풀이 자체가 신랑 친

구들을 위한 자리라고 생각하기 때문인데, 최근에는 공동 부담하는 추세다

 

 

 

Part2 행복한 결혼준비를 위한 결혼비용 분담법

 

트러블을 줄이는 결혼비용 분담법

 

세부항목을 짠다

 

결혼비용은 일반적으로 신랑이 부담할 것과 신부가 부담할 것, 그리고 공동으로 지출하는 것으

로 나뉜다. 하지만 이것도 지역이나 가풍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준비 전에 미

리 세부항목을 정해놓고 양가 어른들의 협의를 통해 서로 부담해야 할 비용을 구분해두는 것이

좋다.

 

적은 비용이라도 합리적으로

 

신혼집 마련이나 예식비용, 신혼여행과 같이 금액이 큰 항목에서 갈등이 생기는 일은 거의 없

다. 일반적으로 남녀 분담이 명확하고 둘 사이에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

문. 갈등은 사소한 것에서 생긴다.

 

주의할 점은 적은 금액에서 서로 ‘이 정도는 알아서 하겠지’ 생각하게 되는데, 간혹 이것이 문제

로 불거질 수 있다. 이 시기에는 1~2만원에도 쉽게 감정이 상할 수 있으므로 지출 가능한 모든

항목에 대해서 자세히 분담계획을 세우자.

 

 

실행은 융통성 있게!

 

실제로 준비를 하다 보면 관례대로 따르기에 간혹 조금 치사한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첩장의 경우 청첩장 비용은 신랑이, 발송 비용은 신부가 부담하는 식으로 하면서 서로 융통성

있게 준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누가 부담해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는 애매

한 부분이 생긴다면 우선 공동으로 부담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추세를 감안하되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다

 

결혼준비에 일반적인 추세는 있지만 법칙은 없다는 것을 명심한다. 결혼한 커플들을 보면 각기

비용 분담법이 다르다. 어떤 커플은 신혼여행은 신랑이 보내주는 것이라고도 하고, 어떤 커플은

웨딩드레스는 신부가 부담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남들이 어떻게 했느냐에 따라 신경을 쓰다 보

면 각자 다른 생각을 하게 되고 갈등이 깊어진다.

 

“이런 건 신랑 쪽에서 부담하던데” “남들은 다 신부 쪽에서 한다고 하던데” 하는 생각은 버리고

각자의 상황과 형편에 따라서 어느 쪽에서 얼마나 부담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추세는 감

안하되 방법은 각기 다름을 잊지 말자.

 

 

결혼비용 분담 문제의 가장 좋은 해결책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

 

비용분담 문제는 신랑 신부 둘만의 결정으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더욱 어렵고 조심

스럽다. 하지만 항상 상대방 입장을 배려한다면 순조로운 결혼식을 치를 수 있다. 신혼집은 신

랑측에서 마련하고 혼수는 신부측에서 장만하는 것이 예전부터 이어오는 일반적인 관례지만,

각자의 집안 사정과 형편에 따라 그리고 의견조절을 통해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결혼비용 분담과 관계있는 문제가 바로 어떻게 하면 비용을 줄일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비용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면 비용분담의 짐을 덜어줄 수 있기 때문.

 

혼수를 장만할 때도 두 사람에게 가장 필요하고 필요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함께 상의해서 당

장 필요한 살림살이만 준비한다면 부담은 훨씬 줄어들 수 있다. 예단이나 예물도 남들이 한다고

해서 ‘우리도 그 정도는 해야 한다’는 생각은 낭비를 초래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이다.

 

신랑 신부와 그들의 가정이 서로의 입장과 상황을 충분히 배려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려 실천

한다면 ‘돈’으로 얼룩진 결혼이 아닌 ‘사랑’으로 충만한 결혼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출처: 본웨딩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공지 그가말했다 천재가 부럽습니까? 재능이 부족합니까? 9343
공지 한몸기도...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 9401
19 재테크관련 짠돌이로 사는 것이 즐겁다 362
18 재테크관련 [행복한 재테크]월 250만원 봉급자의 1억 만들기 297
17 재테크관련 금리인하 거꾸로 이해하기 308
16 재테크관련 30살 미혼 남성인데 내집·결혼자금 마련하려면… 473
15 재테크관련 꼬부랑 금융상품(ELS ETF ELW) 알아야 투자하지! 476
14 재테크관련 청약통장 이것만 알면 쉬워진다 456
13 재테크관련 10억 모으기 단계별 수칙 411
12 재테크관련 고수의 재테크 쪽지 펴보니…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기본이었다 408
11 재테크관련 미모보다 장모 통장이 우선!_금융위기 극복 재테크 비법 420
10 재테크관련 미분양 아파트로 내집마련하는 노하우 313
9 재테크관련 사회초년병의 부동산재테크 5계명 386
8 재테크관련 검은 머리 파뿌리 될때까지 잘 살려면 414
7 재테크관련 신혼부부 주택 15일부터 나온다 371
6 재테크관련 가수 김창렬 "결혼 자체가 돈 버는 비결" 617
5 재테크관련 1억원 `현금:주식:채권` 최적의 포트폴리오는? 396
4 재테크관련 복리상품 `마력`에 푹~ 빠져봅시다 369
3 재테크관련 [생애 재무설계 액션플랜] 목돈마련 지름길은‥맞벌이라면 한 사람 수입 무조건 저축 392
2 재테크관련 신혼부부 백전백승 재테크 전략 321
1 재테크관련 [실전노하우 김대리 1억 만들기] 신입사원 빛나는 월급 관리 비결 4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위로